<aside> ▪️ 2023. 12. 19 (화) 오후 14시 00분~오후 14시 30분 - 정영진 멘토님
</aside>
<aside> 💡 프로젝트 매니징을 위해 사용 언어, 역할 분담, 프로젝트 진행 현황 등을 우선적으로 공유해주세요
✔️ 원활한 멘토링을 위해 미리 작성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필요시 이미지/링크/파일 등을 활용해도 좋습니다. ✔️ 멘토링 종료 후, 해당 템플릿을 수정/삭제 하지 말아주세요. 🚫
</aside>
<aside> ▪️ 프로젝트 깃허브 링크 https://github.com/Kernel360/f1-Orury-Backend (백엔드) https://github.com/Kernel360/f1-Orury-Client (프론트엔드_Client) https://github.com/Kernel360/f1-Orury-Admin (프론트엔드_Admin)
</aside>
<aside> 💡 ✔️ 질문 내용이나 갯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해 히스토리, 요청사항 등을 최대한 상세하게 작성해주세요.
</aside>
질문 1
코딩 컨벤션 관련 협의중인데, 다음 중 뭐가 나을까요?
→ Spring Boot 환경에서 이상적인 Controller의 역할, Service의 역할, Dto의 역할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현재는 1번으로 코드가 작성돼 아래와 같은 구성을 띄고 있습니다.
PostController
PostService
질문2
상수 처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장형 메시지 (String) / 단어 (String) / 숫자 (int, Long)” 상수들을 관리하는 방식을 현업에서는 어떤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1안
원래는 오른쪽의 코드와 같이 상수를 따로 enum으로 관리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int나 Long과 같은 숫자 타입을 담는 경우, 상수처리된 숫자가 인식이 안되는 문제가 있었고 Integer.parseInt(Constants.PAGINATION_SIZE.getMessage().toString())과 같이 코드가 길어지는 이슈도 있었습니다.
⇒ 이러한 방식들(1/2/3안) 중 어떤 해결책을 채택해야 할지, 현업에서는 어떠한 것을 채택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질문3
Github Action을 사용하여 CI / CD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질문4
게시글에 올라갈 사진들을 S3에 저장하려고 합니다.